총괄생산계획(APP)과 기준생산계획(MPS)

2022. 6. 19. 22:46

총괄생산계획 (APP ; aggregate production planning)

- 보통 1년 동안의 수요예측 결과에 기초하여 제품군에 대한 생산량 및 생산일정을 계획하는 것

- 총괄생산계획을 기초로 단위 제품에 대한 세부적인 생산일정인 기준생산계획(MPS) 및 일정계획을 수립

* 제품군 : 단위 개별 제품이 유사하면서 공통적인 생산과정과 인력, 원자재를 필요로 하는 제품들의 집합

                ex) 가전 업체 - 냉장고 제품군 / TV 제품군,  자전거 업체 - 산악용 자전거 제품군, 어린이용 자전거 제품군 ...

 

총괄생산계획 변수

- 총괄생산계획 수립 시에는 기업의 내외부 여러가지 요인들에 의해 영향받음

외부적 요인 : 원재료 시장의 변화, 경쟁업체의 상황, 시장수요의 변화, 협력업체의 환경 및 사회, 경제적 요인

      -> 생산운영 관리자가 통제할 수 없음

내부적 요인 : 고용수준, 생산율, 재고, 납기

     -> 생산운영 관리자가 현재의 생산능력을 조절함으로써 통제가 가능한 변수

 

총괄샌산계획 생산능력 조절

  • 고용수준 조정
  • 생산율 조정
  • 재고
  • 납기

 

● 고용수준 조정

- 수요 변동에 따라 인력을 고용하거나 해고함으로써 생산능력 조절

채용비용, 훈련비, 해고비, 퇴지금...발생

 

● 생산율 조정

- 신규 고용이나 해고 없이 기존 노동력의 노동시간(잔업)을 조절 함으로써 산출율을 변경

잔업, 하청, 단축근무

 

● 재고수준 조정

- 재고를 보유함으로써 수요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

증가 대비하여 현재 수요보다 많은 양 생산, 재고 보유 ~ 재고유지비용 증가

 

● 납기 조정

- 시장의 수요가 생산능력을 초과할 경우 납기 조절하여 대응

전체 수요 지연, 분할 납품 .. 고객과 협의 필수, 신뢰도 떨어뜨림

 

 

총괄생산계획 전략

- 총괄생산계획 변수들 적용관련 의사결정

 

<순수 전략> 

한 가지 변수만을 변화시키는 전략

(추종전략) 수요 변화에 따라 생산능력을 바로 변화   

- 고용수준 변동전략 : 고용과 해고를 통해 고용수준 변화         - 고용비, 해고비 고려

- 생산율 변동전략 : 잔업/하청/단축을 통해 생산율 변동           - 인건비(정상근무, 초과근무) 고려

(평준화 전략) 고용수준과 생산율은 고정시키고, 재고수준을 변화          - 재고유지비 고려

 

<혼합 전략>

두 가지 변수를 동시에 변화시켜 대응하는 전략

 

 

 


 

예제

A전자(에어컨 전문 생산 기업)

현재 종업원 : 200명

> 정상근무

1인당 월 16대 생산

월 근무일수 : 20일

1일 근무시간 : 8시간

1인당 에어컨 1대 생산 소요시간 : 10시간

월급여 : 160만원

 

> 잔업 

초과근무 수당 : 1.5만원/시간

1인당 에어컨 1대 생산 소요시간 : 11시간

 

> 고용/해고

고용비 : 100만원/인

해고비 : 50만원/인

 

>재고

현재고 : 1500대 (안전재고)

재고유지비용 : 1대당 월간 1만원


<순수 전략> 

(추종 전략)

● 고용수준 조정

- 고용수준을 변동(고용, 해고)시키는 방법에 의해 수요를 추종하는 생산 계획

 

노동시간 = 총 수요량 X 작업시간

필요노동력 = 노동시간 / 월간 작업시간  (인력 소수점 모두 반올림)

 

필요노동력의 전월말 인력 차이만큼 인력 고용/해고 결정

 

예제

노동시간 = 3,300 X 10 =33,000

필요노동력 = 33,000 / 160 = 206.25 => 207명

 

월 별 필요인원 = 월 예상수요 / 월간 작업시간(1일 근무시간 X 월간 근무일자)

 

비용항목 : 인건비, 재고유지비, 고용비, 해고비

(1) 정상인건비 = 12개월간 전체 인력 X 월 급여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= 2,509명 X 160(만원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= 401,440(만원)

 

(2) 고용비 = 총 고용인원 X 1인당 고용비

                 = 83(명) X 100만원

                 = 83,000(만원)

 

(3) 해고비 = 총 해고인원 X 1인당 해고비

                 = 114명 X 50만원

                 = 5,700(만원)

(4) 재고유지비 = 최소재고 수준인 1,500대에 대해서만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= 1,500대 X 12개월 X 10,000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= 18,000(만원)

 

고용수준 변동 전략은 매월 필요한 수량만 생산 -> 재고량에 변화 X

 

 

총 비용 = 정상인건비 + 고용비 + 해고비 + 재고유지비

             = 401,440  + 8,300 + 5,700 + 18,000

             = 433,440(만원)


 

● 생산율 변동

- 고용수준 고정, 필요시 잔업을 통해 수요 충족

 

비용항목 : 인건비(정상근무, 잔업) + 재고유지비

 

예제

월 정상작업 = 노동력 X 월간 작업시간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= 200명 X 160시간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= 32,000시간

 

-> 월 32,000시간 초과하는 작업시간에 대해 잔업을 통해 초과 수요 대응

 

(1) 정상인건비 = 인원수 X 12 X 월 급여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= 200 X 12 X 160만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= 384,000(만원)

 

 

정상작업시 생산 가능 수량 = 노동력 X 월 생산량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= 200명 X 16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= 3,200대

 

1월 수요 : 3,300  => 정상 생산 3200대 + 추가 생산 수량 100대

1월 필요 잔업시간 = 100 X 11(잔업시 1 대당 11시간 소요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= 1,100시간

 

(2) 잔업 인건비 = 잔업시간 X 잔업 인건비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= 27,500 X 1.5만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= 41,250(만원)

 

기말재고 = (기초재고 + 기말재고) / 2

 

(3) 재고유지비 = 연간 총 재고 X 대당 재고유지비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= 19,025 X 1만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= 19,025(만원)

 

총 비용 = 정상인건비 + 잔업인건비 + 재고유지비

             = 384,000 + 41,250 + 19,025

             = 444,275(만원)

 


(평준화 전략)

● 재고수준 조절

- 연간 수요에 대비할 수 있는 안정적인 노동력을 확보, 수요 변동에 대해서는 재고수준의 조절을 통해 대처

 

비용항목 : 인건비 + 고용비 + 재고유지비

 

예제

연간 필요 노동시간 = 연간 수요 X 작업시간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= 40,050 X 10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    = 400,500 시간

 

필요노동력 = 연간노동시간 / 1인당 연간 작업시간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= 400,500 / 8(일 근무시간) X 240(월근무일수 X 12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= 208.6명

 

 

현재 인력은 200명, 필요한 인력은 209명이므로 1월 초에 9명을 고용하여 209명의 인력을 1년간 유지

 

월간 생산수량 = 노동력 X 1인당 월 생산량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= 209 X 16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= 3,344대

 

(1) 인건비 = 인원수 X 12 X월 급여

                 = 209 X 12 X160만원

                 = 401,280(만원)

 

(2) 고용비 = 총 고용인원 X 1인당 고용비

                 = 9명 X 100만원

                 = 900(만원)

 

기초재고 = 전월 기말재고

기말재고 = 기초재고 + 월간생산수량 - 수요량

평균재고 = (기초재고 + 기말재고) / 2

 

(3) 재고유지비 = 13,593(만원)

A전자는 최소 1500대 재고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재고유지정책에 위배됨

-> 부족한 재고를 보완하기 위해 잔업 시행

 

> 잔업을 통합 재고 보완

부족한 재고를 보충하기 위해 잔업을 할 경우, 더 많은 인건비와 재고 유지비 추가됨

 

재고 수준이 1,500대 이하로 떨어지는 시점은 6월

-> 6월부터 잔업 필요

 

6월 부족 수량 336 + 7월 부족 수량 706 + 8월 부족 수량 256  => 잔업을 통한 추가 생산 필요

 

기존 노동력은 계속 유지하며 생산하기 때문에 평균 총 재고(비)가 20,812대로 늘어남

 

결국 잔업을 통해 추가되는 비용 = 인건비 21,417 + 재고유지비 7,279 = 총 28,636만원

 

 

총 비용 = 정상인건비 + 잔업인건비 + 고용/해고비 + 재고유지비

             = 401,280 + 21,417 + 900 + 20,812

             = 444,409


 

 

 


 

 

 

기준생산계획 (MPS ; Master production Schedule)

- 총괄생산계획 : 생산일정을 월단위로 광범위하게 정의한 계획, 제품을 그룹으로 나눈 제품군에 대한 계획

- 기준생산계획 : 총괄생산계획의 하위 개념으로 개별 제품에 대한 생산계획을 주간 단위로 수립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개별 제품단위로 생산시기와 수량을 계획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계획 일정 단위는 보통 주(week)

* 주의 *

- 총괄생산계획과 일관성을 유지해야 함

(ex) 제품군 총괄생산계획일정상 우러간 생산량이 1,000개라면, 그 달의 개별 제품의 생산 수량의 합은 1,000이 되어야 함)

- 최종 완제품에 대한 계획

(완제품 납기에 맞춰 일정 수립, 동시에 필요한 부품의 조달 일정도 고려되야 함)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
참고 도서 : 생산운영관리, 유성열외, 이프레스, 2015

반응형

'전공 ✏️ > 생산 운영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자재소요계획  (0) 2022.06.20
재고관리  (1) 2022.06.20
입지선정 및 설비배치  (0) 2022.05.01
생산능력  (0) 2022.04.30
수요예측  (0) 2022.04.29

BELATED ARTICLES

mor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