생산운영관리와 프로세스

2022. 4. 27. 09:00

생산운영

생산요소를 투입하여 일정한 프로세스를 거쳐 유/무형의 경제재로 변환시킴으로써 가치를 부과시켜 나가는 과정

 

생산운영관리

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한 생산운영시스템을 설계하고, 계획된 시스템을 실행하며,

그 실행 결과를 계획과 대비하여 다음 계획에 반영하는 일련의 과정을 다루는 분야

 


프로세스(process)

하나 이상의 투입물을 이용하여 이를 변환시키는 과정(공정, 절차)

 

프로세스 관리

투입물, 생산운영 작업, 작업 흐름 및 투입물을 산출물로 변환시키는 방법 등을 결정하는 것

 

> 고객화 정도, 산출량에 따라 기업 프로세스 구분

고객화 : 제품/서비스가 고객에 따라 얼마나 다양하고 유연하게 달라지는가 하는 정도

산출량 : 한 번의 프로세스를 통해 생산되는 제품/서비스의 수량

  • 프로젝트 프로세스(project process)
  • 단속 프로세스(intermittent process)
  • 라인 프로세스(line process)
  • 연속 프로세스(continous process)

 

 

● 프로젝트 프로세스

고객화 정도가 상상히 높고, 범위가 넓으며, 산출량은 매우 소규모

완료 이후 상당한 양의 자원이 해제되는 특성

ex) 대규모 아파트 단지의 건축, 선박 건조, 경영 컨설팅 업무

 

● 단속 프로세스

비연속적 제품 생산 방식

한 작업 공간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여러 종류의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

어느 정도 산출량이 확보되는 제품 & 서비스를 댜앙햐게 생산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는 프로세스

유연한 작업자 및 장비 : 다양한 작업 수행 가능

주문 생산 방식, 재고 미보유

Job shop 작업 위한 공장

ex) 주문에 의한 금속주물공정, 병원 응급실, 주문형 금고 생산공정

 

● 라인 프로세스

산출량이 많고 제품 및 서비스가 표준화

조립 공정

재고 생산 방식

대량 생산

ex) 자동차, 전자제품의 조립공정, 패스트푸드 음식점의 햄버거 생산 공정

 

● 연속 프로세스

산출량이 많고 제품의 표준화가 매우 높은 프로세스

액체, 기체, 분말 등 중요한 한 가지 자재가 설비내에서 중단 없이 흘러가는 형태

장치 산업

프로세스의 최초 설비 비용이 상당히 크고 재가동 비용이 높아, 보통 중단 없이 24시간 연속 가동

ex) 정유공장, 철강산업, 화학공장 및 맥주공장

 


프로세스 의사결정

 

  • 프로세스 통합의 정도
  • 자원의 유연성
  • 고객의 참여정도
  • 자동화 정도

 

● 프로세스 통합의 척도

수직적 통합의 정도

수직적 통합 : 프로세스 전체 공급사슬 중에서 자체적으로 취급하는 정도

자체적으로 프로세스 직접 수행하지 않는 경우 아웃소싱에 의존

전방통합( 농심 1번가 - 면류 판매 식당 체인통해 고객 판매) vs 후방통합( 농심 - 밀가루 제조 공정 자사화)으로 구분

산출량이 많을 경우, 직무의 전문화 및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수직적 통합이 매력

 

● 자원의 유연성

'인력이나 설비 등의 투입요소가 얼마나 많은 프로세스를 담당할 수 있는가?'의 정도

범용성 높은 장비가 높은 유연성 가짐

작업장 내 혹은 여러 작업장을 이동하면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, 이에 따른 비용 부담 커짐

 

● 고객의 참여정도

고객이 생산운영 프로세스에 직접 참여하는 정도

셀프 서비스, 완구조립, 전원주택의 설계, 병원 예약

 

● 자동화 정도

노동력에 의존하는 정도보다 장비에 의존하는 정도가 커질 수록 자동화 정도는 커짐

장점 : 생산성 향상, 품질 개선

단점 : 초기 투자비용 큼 (일정 수준 이상의 산출량 확보 필요)

 

 

 


참고 도서 : 생산운영관리, 유성열외, 이프레스, 2015

반응형

'전공 ✏️ > 생산 운영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총괄생산계획(APP)과 기준생산계획(MPS)  (0) 2022.06.19
입지선정 및 설비배치  (0) 2022.05.01
생산능력  (0) 2022.04.30
수요예측  (0) 2022.04.29
경쟁우선순위 & 생산운영전략  (0) 2022.04.28

BELATED ARTICLES

more